목차

1. 주차장 접촉사고, 과실비율의 기본 원칙
2. 전진 vs 후진, 상황별 과실비율
3. 증거 확보로 억울함 줄이기
4. 보험 처리와 뺑소니 주의사항
5. 자주 묻는 질문

1. 주차장 접촉사고, 과실비율의 기본 원칙

주차장 접촉사고는 도로가 아닌 사유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도로교통법이 직접 적용되지 않아요.
하지만 손해보험협회의 과실비율 인정기준에 따라 과실이 판단되죠.
통상적으로 주차구역에서 나오는 차량(출차차)이 통로를 주행하는 차량(통로차)보다 더 큰 주의 의무를 지니고 있어요.
기본 과실비율은 출차차 70% : 통로차 30%로 설정되죠.
이는 출차차가 통로로 진입하며 안전 확인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원칙 때문이에요.
도로교통법 제18조 3항을 준용해 출차차는 일단 정지 후 서행해야 하죠.
주차장은 좁은 공간이라 서로의 주의 의무가 더욱 중요해요.

꿀팁: 과실비율 분쟁 해결
과실비율에 이의가 있다면 금융감독원 민원센터에 분쟁 조정을 신청하세요. 객관적 증거를 제출하면 과실비율이 조정될 수 있답니다.

2. 전진 vs 후진, 상황별 과실비율

출차 방식에 따라 과실비율이 달라져요.
전진으로 출차할 때는 기본적으로 출차차 70% : 통로차 30%로 책정되죠.
후진 출차는 시야가 더 제한되므로 출차차의 과실이 5% 가산돼 75% : 25%로 조정돼요.
예를 들어, 지하주차장에서 후진 출차 중 통로차와 충돌하면 출차차의 과실이 더 높아지죠.
하지만 통로차가 과속하거나 급정지, 역주행을 했다면 과실비율이 조정될 수 있어요.
출차차가 통로에 차체를 일부 노출한 상태로 대기 중이었다면 과실이 10% 감산될 수 있죠.
주차장 교차로 사고는 양측의 주행 상황에 따라 50:50으로 시작해 가감 요소를 적용해요.

3. 증거 확보로 억울함 줄이기

주차장 사고는 객관적 증거가 과실비율을 결정하는 핵심이에요.
사고 직후 차량 위치, 파손 부위, 주차장 환경을 사진으로 찍어두세요.
블랙박스 영상이 있다면 즉시 저장하고, 주변 차량의 블랙박스나 CCTV도 확인해야 하죠.
사고 현장을 멀리서 촬영해 주차장 구조를 보여주면 유리해요.
목격자가 있다면 연락처를 받아두는 것도 도움이 되죠.
증거가 부족하면 과실비율 분쟁에서 불리할 수 있어요.
특히 CCTV가 없는 아파트 주차장에서는 블랙박스가 결정적 증거가 되죠.

꿀팁: 사고 현장 사진 찍기
사고 후 차량 접촉 부위뿐 아니라 주차장 통로와 주차선도 촬영하세요. 원거리 사진으로 사고 상황을 명확히 보여주면 과실 판단에 유리하답니다.

4. 보험 처리와 뺑소니 주의사항

경미한 접촉사고라도 보험사 접수를 권장해요.
개인 합의는 상대방이 나중에 뺑소니로 고소할 가능성을 남기죠.
주차된 차량을 긁고 연락처를 남기지 않으면 물피도주로 간주돼 벌금 20만 원이나 벌점 25점이 부과될 수 있어요.
보험 처리는 할증 우려가 있지만, 명확한 기록으로 분쟁을 예방하죠.
주차된 차량과 사고 시 운전자 과실은 100%로 간주되지만, 이중주차 차량은 10~20% 과실이 부과될 수 있어요.
보험사 담당자와 협의하며 증거를 제출하면 과실비율 조정이 가능하죠.
뺑소니 혐의를 피하려면 사고 후 즉시 교통사고사실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해요.

사고 유형 과실비율 (출차차:통로차)
전진 출차 사고 70% : 30%
후진 출차 사고 75% : 25%
주차된 차량 충돌 100% : 0%
이중주차 충돌 90% : 10~20%
Q. 주차장 사고는 도로교통법이 적용되나요?
주차장은 사유지로 간주돼 도로교통법이 직접 적용되지 않아요. 하지만 손해보험협회의 과실비율 기준을 준용해 판단하죠.
Q. 뺑소니로 신고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고 후 연락처를 남기고, 보험사에 즉시 접수하세요. 교통사고사실확인서를 발급받으면 뺑소니 혐의를 피할 수 있죠.
Q. 이중주차 차량과 사고 시 과실은 어떻게 되나요?
이중주차 차량은 10~20% 과실이 부과될 수 있어요. 하지만 충돌한 운전자의 과실이 80~90%로 더 크죠.

주차장 접촉사고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에요.
침착하게 증거를 확보하고 보험사와 협의하면 억울한 상황을 줄일 수 있죠.
안전한 운전과 꼼꼼한 증거 확보로 분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잡아보세요.